정지용 문학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정지용 문학상은 한국 시인 정지용의 문학 정신을 기리기 위해 제정된 문학상이다. 1989년부터 시작되어 매년 시상하며, 수상자에게는 상금과 함께 부상이 수여된다. 역대 수상자로는 박두진, 김광균, 김지하, 도종환, 나태주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문학상 - 대산문학상
대산문학상은 교보생명 창업주 신용호가 한국 문학의 세계화를 위해 제정한 문학상으로, 대산문화재단이 운영하며, 시, 소설, 희곡, 평론, 번역 등 5개 부문에 상금을 수여하고 수상작의 번역을 권장한다. - 대한민국의 문학상 - 심훈문학상
심훈문학상은 한국 문학가 심훈의 문학 정신을 기리기 위해 제정되었으며, 등단 작가, 신인 작가, 학술 연구자, 청소년 및 어린이를 대상으로 다양한 부문에서 시상한다. - 1989년 설립 - 아시아 태평양 경제협력체
아시아 태평양 경제협력체(APEC)는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경제 성장과 협력 촉진을 목표로 1989년 설립된 21개 회원국 간 정부 간 협의체로서, 역내 무역 및 투자 자유화, 경제 기술 협력을 추구하며 매년 정상회의를 개최하고 1994년 보고르 선언을 통해 무역 자유화를 추진, 아시아 태평양 지역 경제 통합에 기여하고 있다. - 1989년 설립 - 동평양대극장
동평양대극장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양에 위치한 극장으로, 혁명가극, 연극 공연과 조선로동당 집회가 열리며, 현대적인 시설을 갖추고 있다.
정지용 문학상 - [상(Prize)]에 관한 문서 | |
---|---|
정지용 문학상 | |
국가 | 대한민국 |
제정 | 1989년 |
웹사이트 | 정지용 문학상 공식 웹사이트 |
명칭 | |
한국어 | 정지용문학상 |
한자 | 鄭芝溶文學賞 |
로마자 표기 | Jeong Jiyong Munhaksang |
2. 역사
정지용 문학상은 정지용의 시문학적 공적을 기리기 위해 제정되었다. 지용회가 매년 뛰어난 작품성과 낭독에 적합한 시를 선정하여 시상한다.[1] 수상자에게는 1000만원의 상금과 상패가 수여되며, 시와시학에 특집 기사로 게재된다.[1]
3. 역대 수상자
연도 작품 시인 비고 1989 서한체(書翰體) 박두진 1990 해변(海邊)가의 무덤 김광균 1991 작은 戀歌 박정만 1992 龜龍寺詩篇. 겨울노래 오세영 1993 석류 이가림 1994 큰 노래 이성선 1995 승천(昇天) 이수익 1996 마음의 고향.6 -초설(初雪) 이시영 1997 백두산 천지(白頭山 天池) 오탁번 1998 세한도 가는 길 유안진 1999 눈내리는 대숲 가에서 송수권 2000 하늘의 그물 정호승 2001 등신불 김종철 2002 백학봉(白鶴峰).1 김지하 2003 낙산사 가는 길 3 유경환 2004 돌아가는 길 문정희 2005 세한도 유자효 2006 너를 사랑한다 강은교 2007 아득한 성자 조오현 2008 마음화상 김초혜 2009 바이올린 켜는 여자 도종환 2010 발견의 기쁨 이동순 2011 왕인의 수염 문효치 2012 옥상의 가을 이상국 2013 그리운 나무 정희성 2014 풀꽃.2 나태주 2015 사랑 세 쪽 이근배[1] 2016 국물 신달자[2] 2017 시계 김남조[3] 2018 그 손 김광규[4] 2019 저녁이 올 때 문태준[5]
정지용 문학상 수상작 중 일부는 일본어로 번역되었다.
3. 1. 1980년대 ~ 1990년대
연도 | 작품 | 시인 |
---|---|---|
1989 | 서한체(書翰體) | 박두진 |
1990 | 해변(海邊)가의 무덤 | 김광균 |
1991 | 작은 戀歌(연가) | 박정만 |
1992 | 龜龍寺詩篇(구룡사시편). 겨울노래 | 오세영 |
1993 | 석류 | 이가림 |
1994 | 큰 노래 | 이성선 |
1995 | 승천(昇天) | 이수익 |
1996 | 마음의 고향.6 -초설(初雪) | 이시영 |
1997 | 백두산 천지(白頭山 天池) | 오탁번 |
1998 | 세한도 가는 길 | 유안진 |
1999 | 눈내리는 대숲 가에서 | 송수권 |
3. 2. 2000년대 ~ 현재
연도 | 작품 | 시인 |
---|---|---|
2000 | 하늘의 그물 | 정호승 |
2001 | 등신불 | 김종철 |
2002 | 백학봉(白鶴峰).1 | 김지하 |
2003 | 낙산사 가는 길 3 | 유경환 |
2004 | 돌아가는 길 | 문정희 |
2005 | 세한도 | 유자효 |
2006 | 너를 사랑한다 | 강은교 |
2007 | 아득한 성자 | 조오현 |
2008 | 마음화상 | 김초혜 |
2009 | 바이올린 켜는 여자 | 도종환 |
2010 | 발견의 기쁨 | 이동순 |
2011 | 왕인의 수염 | 문효치 |
2012 | 옥상의 가을 | 이상국 |
2013 | 그리운 나무 | 정희성 |
2014 | 풀꽃.2 | 나태주 |
2015 | 사랑 세 쪽 | 이근배[1] |
2016 | 국물 | 신달자[2] |
2017 | 시계 | 김남조[3] |
2018 | 그 손 | 김광규[4] |
2019 | 저녁이 올 때 | 문태준[5] |
4. 시상 및 특전
수상자에게는 1000만원의 상금과 상패가 수여되며, 전문지 《시와시학》(시와시학사)에 특집 기사가 게재된다.
5. 심사
정지용의 시문학적 공적을 기리기 위해 지용회에서 매년 뛰어난 작품성과 낭독에 적합한 시를 선정한다.[1] 수상자에게는 1000만원의 상금과 상패가 수여되며, 전문지 『시와시학』(시와시학사)에 특집 기사로 게재된다.[1]
참조
[1]
뉴스
올해 정지용문학상 이근배 시인의 '사랑 세 쪽'
http://www.yonhapnew[...]
2015-04-22
[2]
뉴스
28회 정지용문학상 수상작, 신달자 시인의 ‘국물’ 선정
http://www.anewsa.co[...]
[3]
뉴스
제29회 정지용문학상에 김남조 시인
http://www.yonhapnew[...]
2017-04-17
[4]
뉴스
김광규 '정지용 문학상'
http://news.chosun.c[...]
2018-04-27
[5]
뉴스
문태준 시인, 제31회 정지용문학상 수상자로 선정. 수상작은 시 ‘저녁이 올 때’
http://www.news-pape[...]
뉴스페이퍼
2019-04-24
[6]
뉴스
김광규 '정지용 문학상'
http://news.chosun.c[...]
조선일보
2018-12-07
[7]
뉴스
문태준 시인, 제31회 정지용문학상 수상자로 선정. 수상작은 시 ‘저녁이 올 때’
http://www.news-pape[...]
뉴스페이퍼
2019-11-22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작약과 공터’ 허연 시인 37회 정지용 문학상 수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